-
[Web Application] 내장객체, client와 server 연동 이론back end 2022. 3. 1. 02:22
웹 서버 구축 후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연동한 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정보를 연동할 수 있다.
web의 내장객체 => application, session, request, page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 브라우저당 하나씩 Session 객체를 생성해서 관리하며 서버에 저장한다.
Cookie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 기록을 객체로 생성해서 클라이언트 영역에 저장한다.
Application 몇 개 만들었나?
1개
Application 이름은?
Test
context의 path는 누구로 잡습니까?
Test라는 context로 path를 잡습니다.
context 하위에 있는 page는 몇 개인가요?
3개 (a.jsp, b.jsp, c.jsp)
Test라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context의 path가 잡혔는데 거기에 클라이언트가 몇 개 접속해있나요?
2 개 (C1, C2)
그럼 session의 객체는 몇 개인가요?
2개
=> server는 client를 session 으로 관리한다.
request 객체는 몇 개인가요?
3개
=> request 는 페이지 요청할 때마다 생기기 때문에 C1이 a.jsp 요청할 때, a.jsp에서 b.jsp에 요청할때, C2가 b.jsp 요청할때
Application에서 Context로
Test(Application) + WAS = Web Application
Application이 url로 맵핑되면 그때부턴 Context라고 불린다.
Context Path는 ~~~~/b.jsp
a.jsp => a_jsp.java => a_jsp.class
Client가 context path로 .jsp 페이지 request 하면,
Tomcat이 .jsp파일을 .java로 바꾸고 다시 .class로 바꿔서 우리에게 response 한다.
아래 폴더에서 확인 가능!
'back 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rror] HTTP Status 404 - Not Found (0) 2022.03.01 [Web Application] JSP, Servlet eclipse에서 생성하기 (0) 2022.03.01 [Web Application] eclipse 작업환경 설정(Tomcat, Java) (0) 2022.02.28 [WAS] Tomcat 구조 (0) 2022.02.28 [Pipeline]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, Web 용어 (0) 2022.02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