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Pipeline]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, Web 용어
    back end 2022. 2. 26. 00:13

    내가 알고 싶었던 것! 큰 틀 이해하기

    프로그램 전체적인 흐름

  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httpRequest를 한다. 이 때 소켓을 통해서 하는데 ip와 port가 필요하다. 서버는 그에 맞는 HttpResponse를 한다.

    DB에는 정형데이터와 비정형데이터가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서 배운 정형화된 entity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된다. 비정형 데이터는 xml, json, csv, tsv 등이 있다. 그 중 json은 dictionay형태로 되어있다.

    이런 데이터들을 스토리지라는 곳에 저장을 하는데, 스토리지는 공용저장소를 공유하는 저장 공간을 뜻한다. 정형데이터는 데이터웨어하우스, 비정형데이터는 하둡을 사용하여 저장한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web에 대한 구문을 이해 및 구현

    정적페이지(html)와 동적페이지(jsp)를 포함하여 내가 만든 Application 있다. 이를 웹에 표현하고 싶을 때 Server가 필요한데, 우리는 WAS(Web Application Server)를 사용하여 application과 url을 맵핑하여 웹에 구현한다. 그 중에 우리는 tomcat이라는 WAS를 사용한다.

     

    http

    HyperText Transfer Protocol 

  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규칙

    request와 response 기반의 규약이다.

     

     

    웹사이트

    인터넷에서 사용자들이 정보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도록 웹 서버에 정보를 저장해 놓은 집합체를 의미한다.

     

    URL

    서비스 제공하는 각각의 서버들에 있는 파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

    http://localhost:8080/Test/b.jsp

    localhost:8080  => 서버의 위치 = 127.0.0.1 = ip

    Test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> Context          

     

    웹서버

    웹 클라이언트(웹 브라우저) 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고 정적페이지와 동적페이지를 통해서 정보를 리턴한다.

     

  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

   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것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참조

    만약에 다른 사람이 최대 용량이 10M 내 컴퓨터에 50M 파일을 보내고 싶다면, 

    아래처럼 다른 공간에 올리고 내가 그 공간에 접근해서 CRUD를 할 수 있는 관계가 참조관계!

    참조: 실제로 실행메모리를 차지 하지 않고 CRUD를 할 수 있는 관계를 말하며

    주소를 통해 값을 구현 및 제어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서치

    RDBMS: table, entity

    비정형 데이터: 트위터에서 .json

     

     

    java.lang.* 패키지

    자료 관리 패키지

    index - List

    value - Set

    Key - Map ( HashMap<K, V> )

     

     

    java.net.* 패키지

    tcp/ip 네트워크 통신 패키지

    http://     =>  Web

    ftp://       =>  file 요청

     

     

    데이터 단위

    1/ 파일: java.io / java.nio.   =>  byte, char, node(object)

    2/ DB: java.sql

Designed by Tistory.